설교학 분류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설교자의 청중 이해 (세번째)

작성자 정보

  • 최광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10 조회
  • 1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II. 펴는 글

 

1. 기존 설교학자들의 청중 이해와 삼중관점


1) 전통적 설교학자의 청중 이해

2) 신설교학자의 청중 이해


3) 성경적 설교학파의 청중 이해

성경적 설교(Biblical Preaching)학파는 신설교학이 청중 전달을 중시하다가 놓쳐버린 본문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한 설교학의 움직임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성경적 설교학파의 대부 Haddon W. Robinson과 그의 제자들은 청중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Robinson은 본문 강해를 매우 중시하면서도 청중 전달 역시 강조하고 있다. 예를 들어 Biblical Preaching에서는 주석적 아이디어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라고 충고하는데 이는 메시지를 핵심 문장에 담을 때 청중에게 잘 전달되기 때문이다. 또한 Robinson은 전달을 위해 예화 사용과 서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Robinson은 설교자의 용모, 적절한 제스처(gesture), 시선 배분(eye contact), 그리고 말의 고저장단(tone)과 속도(speed) 및 볼륨(volume)까지 청중에게 잘 전달되도록 조절하고 연습하라고 충고한다.

Robinson의 제자 Steven D. Mathewson은 사람들은 누구나 이야기를 좋아한다고 하면서, 이런 청중 앞에서 설교하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잘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강해 설교자들은 주해의 기술만 연마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이야기의 기술도 연마하라고 주문한다.

Robinson의 또 다른 제자 Jeffrey D. Arthus는 획일적인 형식으로 설교하지 말고 다양한 형식으로 설교를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그가 다양한 형식으로 설교하라고 제안하는 이유는 첫째, 하나님께서 다양함을 사용하시기 때문이다. 둘째, 온종일 다양한 미디어에 노출되어 생활하는 현대인들의 상황을 이해하자는 의미이다. 셋째, 현대인들은 간접적인 정보를 배척하고 직접 참여하는 상호 학습 방식을 원하기 때문이다. 결국 MathewsonArthus 역시 청중을 의사소통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삼중관점의 청중 이해

이상의 연구를 통해 기존 설교학자들의 청중 이해는 주로 의사소통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하나의 영역에 대한 규범을 세우려고 할 때 한 가지 관점으로만 접근하면 균형을 잃고 편중될 위험성이 있다. 그렇다면 균형 잡힌 청중 이해의 방법은 무엇인가? John M. Frame은 윤리학에 접근하는 방식에는 실존론적 윤리학, 목적론적 윤리학, 그리고 의무론적 윤리학의 세 가지 방식이 있다고 설명한다. Frame이 말하는 윤리학의 삼중관점을 청중 이해에 적용한다면 청중 이해는 어떻게 삼중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을까?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기사




알림 0